ChatGPT 공짜 사용 가능했던, 뤼튼 AI 대규모 권고 사직 소식

뤼튼이 뭔가요?

 

 

ChatGPT4.0(유료버전), 클로드 등 각종 유료 AI API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 스타트업에서 만든 Web기반의 AI 플랫폼입니다.

 

상단의 검색창에 검색하면, ChatGPT 처럼 내가 물어본 대답에 대해서 AI가 답변을 해줍니다.

 

최근 국내 유일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뤼튼테크놀로지스(이하 뤼튼)가 대규모 권고사직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뤼튼은 대한민국 AI 혁명을 이끌어갈 차세대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으로 평가받아왔기 때문에 이번 사태의 배경에 더욱 주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뤼튼의 주요 성과와 기술력, 그리고 최근 권고사직 사태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뤼튼AI의 설립과 성정

 

뤼튼은 2021년 설립된 이후 빠르게 성장한 생성형 AI 스타트업입니다. 초기에는 Z세대를 위한 교육용 문서 작성 도구를 제공하며 시작했으며,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AI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이후 카피라이팅 등 더 넓은 시장으로 확장하면서 AI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왔습니다.

최근 뤼튼은 시리즈A 단계에서 총 19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투자는 매시업엔젤스, 캡스톤파트너스, KDB산업은행 등 다양한 투자사로부터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투자 유치는 뤼튼의 기술력과 시장 가능성을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뤼튼의 주요 성과와 기술력

 

뤼튼의 주요 성과 중 하나는 월간 활성 사용자(MAU) 수의 급증입니다. 2023년 말 기준으로 뤼튼의 MAU는 155만 명을 넘었으며, 이는 3분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뤼튼의 누적 가입자 수는 200만 명을 돌파하며, 아시아 대표 AI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뤼튼은 다양한 생성형 AI를 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포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GPT-4, 구글의 파름2, 앤트로픽의 클로드-2 등 여러 AI 모델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답변과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뤼튼의 핫이슈 _ 대규모 권고사직 😰

 

최근 뤼튼은 대규모 권고사직을 단행하며 내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많은 직원이 권고사직 통보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회사 내부 분위기가 어수선한 상태입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직원에 따르면, 권고사직 통보는 사전 공지 없이 당일에 이루어졌으며, 그 이유조차 설명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남아있는 직원들 사이에서는 언제 권고사직 대상이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커지고 있으며,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부적 불안 요소는 뤼튼의 향후 성장에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뤼튼은 미래를 향한 계획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일본, 중동,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네티즌 및 누리꾼들 반응

대부분 뤼튼의 권고사직 소식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해당 기업은 '본인들의 자체적인 기술력 없이 해외 대기업에서 만들어놓은 AI의 API를 끌어다가 합쳐서 중개해주는 일종의 AI 중개 플렛폼에 불과하다.' 등의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평가 전문 플랫폼인 블라인드와 잡플래닛에서도 '이 기업 내부 구조를 보니 그럴만하다.' 등의 의견을 볼 수 있습니다. 

 

뤼튼이라는 기업에 대해, 네티즌들은 대부분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뤼튼AI는 빠른 성장과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AI 스타트업입니다. 다양한 AI 모델을 통합한 포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며, 교육 시장뿐만 아니라 카피라이팅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권고사직 사태 등 내부적인 도전 과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 뤼튼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반응형